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여러분들은 일용직의 세금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계신가요? 일용직의 개념 정의부터 소득세 신고, 세금계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 뒤 어떻게 하면 일용직 세금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지 면밀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2025년 주요 변화점에 대해서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용직 근로자란? 개념 알아보기

    일용직 근로자란 일정한 고용계약 없이 단기간 고용되어 임금을 지급 받는 근로자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간이라고 하면 3개월 미만의 기간을 의미하며, 단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지급받습니다. 건설업의 경우에는 1년 미만의 기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미만의 기간으로 이해하면 되며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력시장에서 하루 단위로 일하고 임금을 지급받는 근로자로 인식하면 되겠습니다. 

     

     

     

    일용직 세금. 소득세의 특징

     

    일용직 근로자의 세금. 소득세의 특징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원청 징수 : 임금을 지급 받을 때, 소득세가 원천징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소액부징수 : 일용직 근로자의 원청징수 세액이 천 원 이하의 경우에는 소득세를 징수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3. 열말 정산 : 일용직의 근로 소득은 연말 정산에 미 포함되며, 원청징수로서 종료됩니다. 

     

     

     

     

     

    일용직 세금 계산 방법

     

    일용직 근로자의 세금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이루어집니다.

     

       1. 총액 산정 : 일당 x 근무일수로 총액을 산출합니다. 

       2. 근로 소득세 적용 : 총액에서  근로소득세를 차감합니다. 일용직의 경우, 일당 160,000원이 공제됩니다.
       3. 과세표준 계산 : 총액 - 근로소득세로 과세표준을 산출합니다.

       4. 산출세액 계산 : 과세 표준에 세율 6%를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구합니다.

       5. 근로소득세액 공제 적용 : 산출세액의 55%를 공제하여 결정세액을 산정합니다.

       6. 지방소득세 추가 : 최종 결정세액의 10%를 지방소득세로 추가합니다. 

     

    소득 유형 원천징수 적용법
    근로소득자 근로소득간이 세액표
    사업소득자 3.3%
    일용직 근로자 6%

     

     

    글로만 계산 방법을 설명하니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여러 예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바로 가기 

     

    📌 소득세 계산기 바로 가기 

     

    ✅ 계산기 사용 방법 

     

       1. 일당 금액 입력 : 하루 지급받는 일당을 입력합니다. 

       2. 근무 일수 입력 : 근무한 일 수를 입력합니다.

       3. 계산하기 : 입력하신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계산 됩니다. 

     

     

     

     

     

     

    일용직 세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1. 일용직 소득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세율은 6% 입니다. 

     

     

    2.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일용직 근로자의 일당에서 근로소득공제(160,000원)를 차감한 후, 남은 금액에 세율 6%가 소득세로 원천징수 됩니다. 

     

     

    3. 일용직도 연말정산을 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일용직 근로자는 연말정산 대상 자체가 아니며, 최초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되어 납세의 의무가 종료됩니다. 

     

     

    4. 일당이 16만 원이라면 세금을 안내도 되나요? 

     

    네, 일당이 16만원 이하이라면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5. 하루 근무해도 4대 보험을 가입해야 하나요?

     

    국내 법규에 따르면 건설업을 포함하여 특정 업종의 경우 월 8일 이상 근무하게 된다면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 8일 기준을 충족한다면 사업주가 신고해야 하며, 보험료 일부를 사업주가 부담하게 됩니다. 

     

     

     

     

     

    반응형